EPISODES:
【2023 아시아의 환경 강연 시리즈】 5강. 국내외 E.S.G. 제도 구축 현황과 이해 【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】 3강. 차이나 리터러시: 베이징 사람들의 꿈과 현실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6강. 카자흐스탄에 평화는 찾아왔는가?: 2022년 1월 반정부 시위 그 이후 【2023 아시아의 환경 강연 시리즈】 1강. 인류세와 기후변화: 과거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7강.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의 변동: 미·중·러를 중심으로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1강. 시진핑 시대의 중국 노동자: 부유하는 삶들의 사회적 연대와 정치적 주체화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7강. 정부 주도 문화 개방 추진 속 한류의 부상: 사우디아라비아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2강. 타이완 패러독스, 세계평화를 위협하다 【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】 4강. 데이터로 보는 베트남의 문화, 삶의 만족도 그리고 경제발전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3강. 튀르키에 여성의 현재 그리고 정치 이슬람 【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】 5강. 일본의 저출산배경 살펴보기: 성 역할태도와 자녀가치 국제비교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5강. 전통과 의무가 형성한 사랑의 형태: 인도의 중매결혼에 대하여 【2023 아시아의 환경 강연 시리즈 2강】. 지속가능성을 향한 생태-사회시스템의 비저니어링: 법제화를 위한 복잡계 원리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2강. 일본 한류의 문화사적 계보와 K컬처의 가능성 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4강. 동남아시아의 선봉 인도네시아 노동운동,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다 【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】 6강. 대도시 국제비교관점에서 본 자카르타인의 사회인식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5강. 수용자들이 주체적으로 주도하는 이란 한류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1강. 아시아 한류를 바라보는 국내 학술 담론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3강. 한류와 동남아시아 : 한류 확산에 있어 “아세안”의 역할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6강. 국가와 수용자들 사이에 긴장이 존재하는 한류: 튀르키예 【2023 아시아의 환경 강연 시리즈】 3강. 동남아의 월경성 환경이슈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: 메콩개발, 연무, 그리고 기후위기 【2024 아시아 한류의 역동성】 4강. 인도네시아 한류 수용의 역동성과 다양성 그리고 수행적 맥락 【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】 1강. 자신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방법: 아시아 대도시 가치조사 서울편 【2023 아시아의 환경 강연 시리즈】 4강. 생물다양성과 국제협약 【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】 2강. 동남아국제도시 싱가포르의 비전과 고민

【2023 다양성+아시아】 4강. 동남아시아의 선봉 인도네시아 노동운동,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다

2023 다양성+아시아 4강. 동남아시아의 선봉 인도네시아 노동운동,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다

전제성(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)

관련영상